Engineering/DevOps

Jenkins 를 통한 SpringBoot Build w/Gradle

망고v 2025. 4. 22. 15:42

Jenkins를 설치했으니 이제 Build는 로컬환경 대신 Jenkins에게 맡긴다. 

 

GitHub 연동하기

"Jenkins 관리" 메뉴의 "Plugins" 으로 들어가서 'GitHub'를 설치한다.

기존 "소스 코드 관리" 영역에 없던 "Git"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(Credential 은 추후 설정하기로.)

 

Gradle 설정하기

이번에는 Plugin에서 'Gradle'을 설치하면 "Build Steps" 영역에 'Invoke Gradle script' 가 추가되어 지정할 수 있다. 'Use Gradle Wrapper' check, 'Make gradlew executables' check 후, Tasks에 'build -x test' 를 입력한다.

 

Build 하기

GitHub 연결한 Repository는 간단한 SpringBoot 이다. 과거 로컬환경에서 Gradle로 Build할 때 특별한 이슈가 없었던 프로젝트이므로 아래와 같이 순조롭게 'BUILD SUCCESSFUL'을 확인할 수 있다. 

 

Jenkins SSL 이슈

Plugin 설치나 GitHub 연동, 그 외 다양한 작업간 환경의 제약이 있는 경우, 아래와 같은 오류를 쉽게 만날 수 있다. 

sun.security.provider.certpath.SunCertPathBuilderException: unable to find valid certification path to requested target
	at java.base/sun.security.provider.certpath.SunCertPathBuilder.build(Unknown Source)
	at java.base/sun.security.provider.certpath.SunCertPathBuilder.engineBuild(Unknown Source)
	at java.base/java.security.cert.CertPathBuilder.build(Unknown Source)
Caused: sun.security.validator.ValidatorException: PKIX path building failed
	at java.base/sun.security.validator.PKIXValidator.doBuild(Unknown Source)
	at java.base/sun.security.validator.PKIXValidator.engineValidate(Unknown Source)
	at java.base/sun.security.validator.Validator.validate(Unknown Source)
	at java.base/sun.security.ssl.X509TrustManagerImpl.checkTrusted(Unknown Source)
	at java.base/sun.security.ssl.X509TrustManagerImpl.checkServerTrusted(Unknown Source)

아래 "Plugins"의 "업데이트 사이트"에 'https' 대신 'http'로 수정하면 해결된다는 글들도 많던데, Plugin 설치 외 다양한 작업에서도 필요하니 'skip-certificate-check' Plugin을 설치했다. (최초 Gradle.zip 파일 다운로드할 때, 문제가 여전하여 잠시 Public망을 연동하였는데.. 추후 다시 보기로.) 

'Engineering > 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ICD] Jenkins 설치하기  (0) 2025.04.21
[형상관리] Gitea repository 생성  (0) 2025.01.07
[minikube] 형상관리(Gitea) 설치  (0) 2025.01.03
Tekton 설치(minikube)  (0) 2024.06.11
Gradle 적용 및 Maven과 비교  (0) 2024.04.25